미진사 로고

메뉴열기

함께, 배우다

오브제, 사물이 어떻게 예술 작품이 되는가?

작성일: 2025.09.22

조회수: 39

2


조셉 코넬(Joseph Cornell/1903~1972/미국) 독학 예술가로 1940년대 골동품상과 중고 서점에서 물건들(발견된 오브제)을 수집하여 깊이가 얕은 상자에 조합함으로써 신비롭고 호기심을 자아내는 세계를 창조하는 상자 예술가로 알려져 있다(로얄아케데미 전시 이미지).



오브제(프 objet, 영 object)는 라틴어 Objectum(대상, 물체)에서 유래했으며 

‘일상적 사물이 본래의 용도나 기능을 벗어나 예술적 맥락에서 새로운 의미를 가지게 된 물체’를 말한다. 

1910년대 초 마르셀 뒤샹이 레디 메이드를 통해 오브제 개념을 제기했고 

1920~30년대 초현실주의자들에 의해 미술 용어로 정착했다. 

오브제는 전통적인 예술의 틀을 깨고, 현대 미술에서 개념적, 실험적 접근을 가능하게 하며, 

예술과 일상의 경계를 허물어 대중과 소통하는 매개체로 자리 잡았다.



 1. 오브제를 누가, 언제, 예술이라 했을까? 

-1910년대 오브제 개념 시초


-마르셀 뒤샹(Marcel Duchamp)은 레디 메이드(Ready-made) 작품들을 통해 

‘일상품도 예술이 될 수 있다’는 파격적인 선언을 함


-기존 예술의 틀을 깨고 오브제 개념을 탄생시키는 중요한 발판이 됨. 

즉, 레디 메이드는 오브제의 초창기 형태이자, 오브제 개념을 촉발한 기폭제와 같은 역할


-1920~30년대 초현실주의(Surrealism) 오브제 개념 정립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 1936년 「초현실주의와 회화」에서 오브제를 이론적으로 정립


-초현실주의자들은 일상적 물체를 새로운 맥락에서 결합하거나 변형하여 

무의식과 상상력을 자극하는 도구로 사용



 

오펜하임(Oppenheim, Méret/1913~1985/스위스) 나의 보모(구두, 종이, 끈, 메탈 접시/14×33×21cm/1936년) 



 2. 오브제, 어떤 모습으로 존재할까?

-레디 메이드: 뒤샹의 <샘>(1917)과 같이 일상적인 공산품(변기)을 아무런 변형 없이 예술 작품으로 제시. 

예술 작품으로 기능하게 된 이유는 작가의 ‘선택’과 ‘명명’ 때문


-발견된 오브제(Objet Trouvé): 초현실주의자들이 즐겨 사용한 오브제로 

길가의 돌멩이, 나뭇가지처럼 우연히 발견한 자연물이나 인공물을 예술 작품에 포함


-조작된 오브제(Objet Manipulé): 만 레이(Man Ray)의 <다리미>(못이 박힌 다리미/1921)처럼 

기존 사물의 형태를 변형하거나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새로운 의미를 부여


-어셈블리지(Assemblage, 조립된 오브제): 1940년대 어셈블리지의 선구자 조셉 코넬(Joseph Cornell)의 

작품이나 로버트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콤바인 페인팅(Combine Painting/회화와 조각의 결합)처럼 

여러 가지 폐품이나 주변의 물건을 ‘조립’, ‘집합’하여 새로운 형태로 만든 3차원의 콜라주(1950년대) 조각이라 할 수 있음


-타블로 오브제(Tableau-Objet): ‘그림-오브제’라는 의미로 피카소(Pablo Picasso)와 브라크(Georges Braque)가 

사용한 용어. 물감의 질감 등 재료의 물성 탐구, 벽지, 천 등 이질적 재료를 화면에 병치하는 콜라주 기법을 시도하면서 

회화가 재현적 역할(예: 풍경, 인물 등)에서 벗어나, 스스로 하나의 독립된 오브제(물체)로 존재해야 함을 주장. 



 3. 오브제, 예술의 지평을 어떻게 넓혔을까? 

-일상과 예술의 경계 허물기: 평범한 사물도 기존의 용도와 기능에서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으며 

예술의 범위를 확장. 예술가의 선택, 조작, 배치에 따라 예술적 맥락이 형성됨.


-물질과 현존성 강조: 일상적 물체를 예술적 환경(갤러리, 전시장 등)에 배치함으로써 새로운 해석을 유도. 

물체 자체가 아니라 그것이 지닌 개념적, 상징적 의미에 초점. 

가령 개념 미술에서 오브제는 작가의 생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매개체 역할


-우연과 즉흥성 중시: 작가의 의도뿐 아니라 종종 우연히 ‘발견된 오브제’의 아름다움과 즉흥적인 표현을 중시


 4. 오브제의 현대적 확장은?

-디지털 오브제: NFT 아트와 같이 가상 현실(VR), 증강 현실(AR), 디지털 아트에서 데이터와 코드를 오브제로 간주


-비물질적 오브제: 설치 미술에서 오브제는 관객과 소통하고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는 중요한 요소인데 

이때 소리, 빛, 시간, 움직임 등 물질적 형태를 넘어선 요소들도 오브제로 포함


-관객 참여와 상호 작용

관객이 직접 만지거나 조작할 수 있는 작품들의 경우 오브제는 관객의 참여를 통해 의미가 완성되기도 함



 1. 왜 하필 20세기 초에 오브제가 등장하게 되었을까?

 2. 디지털 시대에 오브제의 물질성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3. 동양 미술에서의 오브제 수용과 해석은 어떠한가?

 4. 오브제는 기존의 예술과 어떤 점에서 다르며, 그 차이가 갖는 의의는 무엇일까?

 5. 오브제가 예술 교육에 미친 영향은?



작성자

미진사 본부장 최진선



참고 자료 및 출처

https://www.royalacademy.org.uk/exhibition/joseph-cornell

https://www.artinsight.co.kr/news/view.php?no=40177

윤희경, 서양미술사전

#오브제#현대미술#마르셀뒤샹#레디메이드#초현실주의#앙드레브르통#발견된오브제#조작된오브제#어셈블리지#타블로오브제#일상과예술#디지털오브제#NFT#관객참여#예술의확장

댓글0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