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진사

> 미진사 > 분야별 도서

분야별 도서 분야 별로 보는 미진사 도서

미진신서

한국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절판

미술평론가로서 그 활동이 기대되는 지은이가 그 동안 발표한 평문과 미발표 원고를 묶어 펴낸 책으로 내용은 모두 4장으로 되어있다. 먼저 1장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서구적 상황을 정리, 개괄했고 2장에는 한국에서 논의되고 있는 포스트모던에 대한 논자들이 다양하고 상이한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증하고 있다. 그리고 3장에는 미술환경을 지배하는 요소와 여기서 파생되는

저자/역자 서성록
정가 16,000원
ISBN 89-408-0125-3
발행일(초판일) 1993-11-30 / 1992-08-05
판형 A5
페이지수 344쪽
도서상태 절판
판매처 교보문고,YES24,인터파크,알라딘,반디

형식주의, 미학적 대중주의, 페미니즘, 역사적 고전주의 등의 이론을 소개하였다. 한국에서의 포스트모던 양상을 집약하고 이에 대한 논자들의 서로 다른 입장을 비판적으로 검증하는 데 역점을 두었고, 미술과 직접적, 간접적으로 관련한 문제들과 대면하게 된다. 모더니즘과 한국미술의 관계를 검증하여 서구 현대미술이 지닌 딜레마가 무엇인지 살펴보면서 한국모더니즘 미술의 전형이라 할 수 있는 모노톤 회화으 ㅣ근본 문제에 대한 조명, 한일 미술교류를 통해 본 한일문화의 역학관계, 그리고 오늘날 한국미술이 전체적으로 안고 있는 전통과 현대, 수구와 진보, 단절과 지속 등 이항대립의 개념들과 제 문제를 요약함으로써 우리 미술의 얼개를 형성짓도록 했다.

서성록 [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와 동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하고 미동서문화센터 연구원, [미술평단] [선미술]주간을 역임하였다. 198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부문에 당선하였고 현재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회원이며 안동대학교 미술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한국의 현대미술> <현대미술의 쟁점> <한국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북한의 미술>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포스트모던 미술과 비평>이 있다.


머리말         10

제 1 장 새로운 문화, 새로운 미술

 ‘다차원성’의 길트기 - 한국 포스트모던 미술의 전개, 맥락과 관련하여 - 47

1. 들어가는 말     47
2. 포스트모더니즘의 제 이론   48
3. 한국 포스트모더니즘의 ‘지형도’  56
4. 유실된 다충성, 다차원성의 복원  68

포스트모던 미술과 그 논의의 갈래들 - 보수적 다원주의와 비판적 다원주의 - 71
1. 들어가는 말     71
2. 기준없는 약호들    71
3. 보수적 다원주의, 비판적 다원주의  73
4. ‘나약한 사유’    76
5. 모순의 외현화 (外現化)  78

재현, 패러디, 이중 코드, 아방가르드 -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창조전략 - 82
1. 표류하는 이론들     82
2. 다신론의 호경기     83
3. 모더니즘의 보편성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수성  86
4. 주요 창조전략들     89
5. 문화의 탈신화화     95   

미술의 창조적 구축과 해체적 비판 - 비판이론, 후기구조주의 관점에서의 포스트모더니즘 - 97
1. 들어가는 말     97
2. 문명비판, 이성비판    98
3. 비판이론의 미학   102
4. 후기구조주의의 비판이론 수용   109
5. 나오는 말     112

고급예술과 대중문화, 예술과 삶의 거리 좁히기 -후기산업사회의 팝 아트 -114


 제 2 장 변혁기의 문화와 비평

주변의 중심화 -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풍향 -131
1.표현의 근친상간   131
2.주변의 중심화   132
3.네 가지 패러다임   134
4.타협없는 불협화  137
 
변혁기의 문화와 비평   140
1.민중미술에 대한 논의들    141
2.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의들    146
3.포스트모더니즘의 비판에 대하여   149
4.미학적  대중주의, 해체전략       154

 도시 문명적 미술과 ‘대중성’   157

‘탈모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로의 이행   168
 1.들어가는 말      168
 2. ‘탈모던’과 포스트모던   169
 3.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사    174
 4. 저항으로서의 미적 형식    180
 5. 나오는 말      184

 한국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185
 
 포스트모더니즘, 한국적 수용과 대안으로서의 가능성   196
 1.민족적 . 주체적 시각의 비판에 대하여      196
 2.포스트모더니즘의 반제국주의적 문화비판 시각     197
 3.개방적이고 탄력적인 접근 아쉬워     200

 문명 또는 이성비판으로서의 미술 - ‘메타복스’와 ‘난지도’를 중심으로 - 202

 탈모던은 양분화 된 한국화단의 해답일 수 있는가? 212

제 3 장 현대미술의 지평과 전망

작가와 대중 그리고 창조적 자유   229
1.상업주의의 팽배    229
2.작가와 대중의 역사적 관계   231
3.하이퍼모더니즘과 우리의 과제    234


테크놀로지와 예술의 길항관계   236

삶적 요소와 회화적 요소의 평형감각   246

문화 산업론    254

‘계급’을 위한 예술은 가능한가?   272
1.참다운 변혁기의 비평을 위한 최소한의 조건   273
2.당파적 현실주의의 개념과 정체    275
3.당파적 현실주의의 비평적 모순    278
4.노동자계급의 혁명능력     281
5.당파적 현실주의와 동구형 리얼리즘   284

제 4 장 모더니즘과 한국미술

키치, 사물화, 그리고 퇴폐개념   289
1.현대미술의 딜레마    289
2.모더니즘과 키치   290
3.상품의 사물화, 오브제의 사물화  293
4.퇴폐개념    295

모노톤 회화와 일본 모노파의 관계  301
1.국교 정상화 이후 국제전의 시발   302
2.1970년대의 모노톤 회화, 일본측의 이해와 오해   303
3.이우환 (李禹煥) 과 1970년대 한 . 일미술의 역학  306
4.‘색깔이 없는 민족’ - 한국미술을 보는 일본의 시각 308
5.20여 년간 일본전시의 허실     310

개별의 질곡을 찾아서     312
1.추상미술과 개별의 위기     312
2.모더니즘의 규준과 미니멀리즘    315
3.긴장관계의 복원      323

역사, 정체 그리고 변화의 변증법 - 현대회화의 전통 해석 문제 -326
1.들어가는 말    326
2.이항대립의 문제틀  326
3.전통과 현대, 수구와 개혁, 단절과 지속   333
4.전통의 단절로서의 현대와 계승으로서의 현대 337
5.나오는 말      340